알라딘

헤더배너
듀얼 브레인 지구 박물관 여행 정관스님 나의 음식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뱅자맹 쇼와 함께하는 특별한 박물관 탐험"
지구 박물관 여행
에바 벵사르 지음, 뱅자맹 쇼 그림, 이세진 옮김 / 아이스크림미디어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국내외 여러 박물관을 탐험하고 소개하는 책은 다양하다. 여느 박물관 여행기와 차별화된 이 책에는 바티칸 박물관,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 뉴욕의 미국 자연사 박물관 등 열두 곳의 박물관이 등장한다. 프랑스 예술 저널리스트인 에바 벵사르가 특별한 시선으로 포착하여 들려주는 각 박물관 내 흥미로운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고, 그림책의 거장 뱅자맹 쇼 특유의 멋진 그림이 시원시원하게 배치되어 있어 박물관을 생생하게 탐험하는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이라고 하면 대부분 피라미드, 모나리자를 떠올릴 것이다. 이 책은 다른 관점으로 박물관을 안내한다. 루브르의 상징인 피라미드를 누가 설계했는가? 장기 공사는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세계적인 팝스타의 뮤직비디오에 루브르의 어떤 작품들이 등장하는가? 이처럼 흥미로운 이야기들뿐 아니라, 관람을 위한 조언과 기념품 추천 등 박물관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실용적인 팁을 소개한다. 특히, 이 책은 박물관에서 일하는 사람들, 관람하는 사람들, 예술작품을 모사하는 사람 등, '사람'에게도 초점을 맞춘다.

유머와 재치를 겸비한 박물관 여행기를 찾고 있다면, 뱅자맹 쇼의 그림을 아주 크게 볼 수 있는 이 책을 권한다. 막상 실물 책을 받으면 생각보다 큰 크기에 살짝 놀랄 수도 있지만, 아이와 어른이 함께 즐기기에 더없이 좋은 책이다. 설령 가본 곳이더라도 보지 못했던 부분, 몰랐던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새롭게 발견하게 될 것이다. - 어린이 MD 송진경
MD 추천 그림책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진짜배기 소설의 신명에 홀려"
혼모노
성해나 지음 / 창비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압도하는 어떤 영화를 보면 영화의 기에 눌려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는 와중에 숨을 골라야 한다. 교수자와 연주자가 충돌하는 <위플래시>(2015)의 속도감, 홀린 듯한 굿판이 펼쳐지는 <곡성>(2016)의 광기가 옮아봍는 느낌. 성해나의 두번째 작품집 <혼모노>가 꼭 그런 소설이다. 진짜 무당과 가짜 무당, 자기중심적인 시아버지와 '타이거 마더'인 며느리, 비윤리적이라는 혐의를 받는 감독과 그를 비난하거나 그의 팬이 되는 대중, '태극기부대' 노인과 한국계 미국인 예술종사자 같은 대비되는 인물들을 링 위에 올린다. 그들이 맞부딪치는 순간 불꽃이 튀고 “작가의 ‘신명’이라 불”릴(추천사, 이기호) 만큼 “질투 나는 재능”(추천사, 박정민)이 쏟아진다.

2024년과 2025년 젊은작가상, 2024 이효석문학상 우수작품상 등을 수상하며 독자의 지지를 얻은 성해나의 최신작이 실렸다. 잘못한 우상은 끝이 없기에 <길티 클럽: 호랑이 만지기>도 시의적절하고, 대 무속의 시대에 벌어지는 <혼모노>의 굿판도 심장이 두근거린다. #덕질 #길티플레저 #진짜가짜 #남영동대공분실 #건축 #스타트업 #농촌재생사업 각 소설을 소개하는 해시태그를 따라 내게 꼭 맞을 아드레날린을 처방해보면 좋겠다. 트레드밀 위에서 한참 달리다 평지를 처음 디딜 때의 멀미처럼, 각 소설이 품은 자극이 보통 맛이 아니다. 진짜는 진짜를 알아보는 법. 신명나는 이야기를 즐겨본 독자라면 이 작가를 알아볼 수밖에 없을 것이다. - 소설 MD 김효선
이 책의 한 문장
시부의 말처럼 나 정말 미친 게 아닐까. 미쳐서 손윗사람에게 부려서는 안 될 표독을 부린 게 아닐까. 도에 어긋난 행동을 한 게 아닐까. 그의 말처럼 나조차 감당하기 어려운 짐을 내 아이에게 지게 한 건 아닐까. 그런데…… 내가 미쳤다면, 정말 미쳤다면 무엇이 나를 미치게 한 걸까. ―「잉태기」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요리가 명상이며 수행이다."
정관스님 나의 음식
정관 지음, 후남 셀만 글, 양혜영 옮김, 베로니크 회거 사진 / 윌북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사찰요리 명장 정관스님의 첫 요리 에세이가 출간됐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쉼 없이 도는 계절 속에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사찰음식의 철학과, 계절감 넘치는 요리법, 정관스님의 정갈한 삶의 모습을 만날 수 있는 책이다. 명장의 대표 요리인 표고버섯 조청 조림, 꽃 부각 조리법뿐만 아니라, 절간장, 들기름, 천일염 등 최소한의 재료에 시간을 더해 멋과 맛을 이룬 사계절 요리 레시피도 정성스럽게 소개되어 있다.

스님은 제철 채소를 먹으며 자연과 어우러지는 섭생 방법을 깨치고, 내 몸을 움직일 수 있을 만큼만 소식하며, 탐욕 없이 살아가는 법을 되새기게 하는 철학인 '발우공양'을 수행하는 과정을 몸소 보여준다. 그 겸손과 절제, 가벼운 에너지는 인생이라는 각자의 수행을 하는 독자들에게 깊은 통찰과 위로를 남긴다. '자연과 시간의 위대한 솜씨에 자신의 에너지를 조금 보탤 뿐'이라고 말하는 저자처럼 자연의 울타리 안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 역시 자연의 일부라는 사실을 일깨워주는 책이다. 사찰음식이 지향하는 본래의 가치와 수행의 과정이 궁금한 이들에게 권한다. - 요리 살림 MD 권윤경
이 책의 첫 문장
어떤 이야기에는 마법 같은 힘이 있어 시간이 흘러도 마음에 울림을 남긴다. 정관스님의 이야기가 그랬다.

이 책의 첫 문장
스님들은 예부터 한 달에 두 번 목욕재계하며 승복 빨래를 했다. 머리카락을 깎는 일은 에너지가 많이 소진될 뿐만 아니라, 실제로 내 몸의 단백질을 잘라내는 일이다. 그래서 스님들은 삭발하는 날이면 다 같이 두부구이를 먹으며 단백질을 보충한다. 이때 아무나 두부를 굽는 게 아니다. ··· 들기름에 두부 굽는 고소한 냄새가 사찰에 퍼진다. 잘 구운 두부에 산초장아찌를 올려 먹는 게 사찰의 별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