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개월 무이자 : 현대,신한,삼성
* 2~5개월 무이자 : 우리,BC,하나,롯데,국민
* 2~6개월 무이자 : 농협
※ 제휴 신용카드 결제시 무이자+제휴카드 혜택 가능합니다.
※ 알라딘페이는 토스페이먼츠사 정책으로 5만원 이상 할부 선택이 가능하오니 필요시 다른 결제수단을 이용 부탁드립니다.
※ 오프라인결제/Non ActiveX 결제(간편결제)/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페이코 등 간편결제/법인/체크/선불/기프트/문화누리/은행계열카드/ 알라딘 캐시와 같은 정기과금 결제 등은 행사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무이자할부 결제 시 카드사 포인트 적립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본 행사는 카드사 사정에 따라 변경 또는 중단될 수 있습니다.
바야흐로 클래식 음악의 새로운 전성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수의 취미로만 여겨지던 연주회 방문도 걸출하고 젊은 피아니스트들의 등장으로 활성화를 띤 듯싶다. 국내 공연은 연일 매진이고 해외 순회공연에 참석하기 위해 여행 겸 떠나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클래식 음악에 대한 벽이 낮아지는 게 실감이 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래식 음악에 여전히 흥미가 생기지 않는다면, 음악사-음악학의 개념으로 클래식 음악을 들여다보는 건 어떨까?
저명한 지휘자이자 음악 교육자인 존 마우체리는 어째서 클래식 음악 플레이리스트가 20세기 초에 멈춰 있는지 질문하며 그 답을 파헤쳐 나간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클래식 음악은 정말로 모차르트, 베토벤, 브람스, 쇼팽에서 플레이리스트가 반복된다. 조금 특색 있는 작곡가라면 쇼스타코비치, 말러 정도다. 그렇다면 왜 클래식 음악의 레퍼토리는 이다지도 적은가? 작가는 20세기 양차 대전을 겪으며 독재자 히틀러, 스탈린, 무솔리니가 국가의 마케팅 도구로써 클래식을 사용했음을 설명한다. 종전 후 냉전 시대 때 클래식 음악이 가야 할 길은 어떻게 재편되었을까? 이 물음이 어떻게 아방가르드, 할리우드 음악으로까지 연결되었을까? 단지 '듣는' 음악에서 벗어나 역사적 관점으로 들여다본 클래식 음악의 세계는 새로이 다시 태어난다. 여러분의 클래식 플레이리스트에도 새로운 음악이 추가될 것이다, 비록 다수가 호명하길 그 음악을 게임음악이라 할지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