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인찍힌 노동자들이 보는 일의 세계"
취준생 땐 위염과 전쟁을 했다. 불안증과 위염, 발진이 번갈아가며 괴롭혔다. 단지 거절에 대한 두려움 때문만은 아니었다. 내 존재의 어떤 부분들을 깎고 녹여, 견고하게 각 맞춰 짜인 노동자라는 틀에 욱여넣은 채 살아가야 하는 현실을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것 같다. 노동자라는 옷이 이미 익숙해진 현재에 이런 감상은 조금 기만적일 수도 있겠으나 책의 초반부를 읽으면서 그때의 감정이 자주 겹쳤다.
우리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정상) 노동자'의 기준은 상당히 협소하다. 이 책은 그 기준과 우리가 노동자라는 자격을 획득하고 유지하기 위해 치러야 하는 비용에 대해 질문한다. 사회가 '성실하다'고 인정하는 범위 바깥에서 자신의 노력을 하며 살아가는 청년들, 홀로 양육하는 여성들, 정신질환을 겪는 여성들, 노년 돌봄 노동자 등을 인터뷰하며 책은 노동시장이 지정하는 정상성의 기준이 품은 폭력성을 지적한다.
그러나 노동은 굴레일 뿐만 아니라 자아의 일면을 지지하는 기둥이 되기도 하기에, 노동을 대하는 태도엔 복잡한 마음이 겹친다. 저자 희정은 성실한 노동자로서 지녀온 가치관과 노동의 견고한 정상성 기준이 충돌하는 지점에서의 혼란을 숨김없이 드러낸다. 공감과 의문을 겹쳐가며, 우리가 질문해야 할 지점들을 함께 고민해 보면 좋겠다. 노동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던지는 책이다.
- 사회과학 MD 김경영 (2023.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