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을 더 잘 먹는 법"
파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어리가 통째로 들어가 고개를 내밀고 있는 스타게이지 파이나 삶은 장어를 식힐 때 나오는 젤라틴 덩어리와 함께 먹는 장어 젤리의 악명은 영국으로 휴가를 떠나는 나의 큰 걱정거리였다. 이런 나의 걱정을 짐작이라도 한 듯, 현지에서 유학 중이던 지인은 철저하게 ‘비영국식’ 식당을 소개해 주었다. 덕분에 휴가기간 동안 태국, 말레이시아, 튀르키예, 멕시코, 레바논 등 한국에서도 자주 먹지 않던 전 세계의 다양한 음식들을 맛볼 수 있었고, 종국에 자신감을 얻은 나는 영국까지 가서 영국 음식을 먹어보지 않을 수 없다는 마음에 블랙푸딩과 해기스에도 도전해볼 수 있었다. 처음 출발할 때의 걱정과는 달리 영국 여행은 다양한 음식 문화를 맛보며 나의 미식 경험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주는 식도락 여행으로 기억되었다.
영국에서 오랜 기간 연구 활동을 이어온 장하준 교수는 1990년대 이후 영국 식문화의 다양화와 1980년대 이후 신고전학파 경제학으로 획일화된 경제학계의 모습을 대비하며 학계의 지적 ‘단일 경작’에 우려를 표한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서로 다른 비전과 연구 방법을 자랑하는 다양한 학파에 속하는 학자들이 활동하던 경제학계는, 1980년대 이후 학계 내외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신고전학파가 경제학계 전체를 장악한 주류경제학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한 가지 학문적 전통이 메뉴의 전부가 되어버린 획일화된 식탁은 지적인 영양결핍을 야기할 위험이 있다. 저자는 음식을 먹을 때처럼 경제학을 ‘섭취’할 때 골고루 먹을 것, 새로운 것을 시도할 때 열린 마음을 유지할 것, 재료의 출처와 기원을 확인할 것, 그리고 풍부한 상상력을 동원할 것을 제안한다. 마늘에서 초콜릿까지 우리에게 친숙한 18가지 재료와 음식으로 가난과 부, 성장과 몰락, 공정과 불평등 등 우리에게 밀접한 경제 현안을 요리하여 더 공정하고 다 함께 잘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경제학 한상차림을 선사한다.
- 경제경영 MD 박동명 (2023.03.28)